반응형 Money_Code112 <숫자뉴스365>3.4%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를 3.4%로 0.1%p 낮췄습니다. 하지만 소비 부진 완화로 근원물가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상승률 전망치는 올리면서, 정부는 물가안정을 위한 긴축적 거시정책 기조가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습니다. KDI는 최근 '2023년 상반기 경제전망' 발표에서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를 3.4%로 지난 2월 전망치 3.5% 보다 0.1%p 낮췄습니다. 하지만 근원물가전망치는 2월 전망치인 3.4%에서 3.5%로0.1%p 올렸습니다. KDI는 올해 경기부진이 계속되고 있지만 기조적인 물가상승세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당분간 현재의 긴축적 통화·재정정책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2023. 6. 8. <숫자뉴스365>17.9대1 최근 인사혁신처는 '2023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 합격자 7041명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를 통해 발표했습니다. 지난 4월 치러진 필기시험에는 9만5436명(12만1526명 지원)이 응시해 선발예정인원 5326명 대비 17.9대1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응시 경쟁률 22.5대 1에 비해 크게 낮아진 수치로, 최근 5년 사이 응시자 수가 10만명 이하를 기록한 첫 사례입니다. 합격자 평균연령은 29.7세로 지난해(29.3세)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60.5% ▲30대 32.1% 40대 6.3% ▲50대 이상 1.0% ▲ 18~19세 0.1% 순입니다. 여성 합격자는 전체의 47.3%인 3332명으로 지난해 51.2%(3820명)보다 다소 낮아졌습니다. 2023. 5. 30. <숫자뉴스365>39.9% 국민 10명 중 4명은 올해 투자비중을 늘린다면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 플랫폼 업체 직방이 4/18~5/2일 직장 앱 접속자 72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투자비중을 늘릴 상품으로는 '부동산'이 39.9%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예금·적금 (19.8%) ▲주식(16.1%) ▲그대로유지(12.4%) ▲금(5.0%) 등의 순서로 응답했습니다. 2023년 투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이슈로는 '기준금리 변동'이 39.4%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국내 경기침체(23.3%) ▲부동산 거래 부진 및 청약시장 위축 (12.4%) ▲부동산 PF, 2금융권 건전성악화(7.4%)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 대외 상황(6.3%) 등 순입니다. 2023. 5. 26. <숫자뉴스365>1호 대한민국이 지구상에서 사라지는 '인구소멸 국가 1호'가 될 것인가? 데이비드 콜먼 옥스퍼드대 인구학 명예교수는 지난 2006년 유엔 인구포럼에서 한국의 심각한 저출산 현상을 언급하며 이대로라면 대한민국은 '인구소멸국가 1호'가 될 것이라는 충격적인 발표를 한 바 있습니다. 당시 대한민국 합계출산율은 1.13명이었으나 지난해 출산율은 0.78명으로 17년이 지난 초저출산 현상이 더욱 심화돼 국가소멸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228개 시·군·구 중 절반이 소멸 위험 지역이고, 인구가 3만 명을 밑돌아 서울의 한 개 동보다 적은 군은 20여개에 달합니다. 2023. 5. 24. 이전 1 2 3 4 5 6 ··· 28 다음 728x90 반응형